자격증/ADsP

2024 ADsP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시험공부 5일차/20

nimoes._. 2024. 4. 23. 16:00
728x90
반응형

[02과목-02장]

01 마스터플랜 수립

1. 마스터플랜 수립

(1) 분석 마스터플랜의 개념

- 분석 마스터플랜 : 어떤 하나의 분석 프로젝트를 위한 전체 설계도. 분석방법론과 과제발굴 수행과정을 모두 아우르는 광의의 개념

- 마스터플랜 수립 단계 : 분석 과제의 우선순위 결정, 기업의 상황 고려 후 분석 과제의 적용 범위 및 방식 결정,

분석 구현 로드맵 수립

 

(2) 분석 마스터플랜 수립 프레임워크

- 가장 먼저 할 일 '발굴한 분석 과제의 우선순위 정하기'

- 우선순위 고려요소 : 전략적 중요도, 비즈니스 성과 및 ROI, 분석 과제의 실행 용이성

- 우선순위와 함께 분석 과제의 적용 범위 및 방식 설정

- 적용 범위 / 방식 고려 요소 : 업무 내재화 적용 수준, 분석 데이터 적용 수준(내외부), 기술 적용 수준

 

==> 분석 과제의 우선순위와 적용 범위 및 방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 구현 로드맵 수립 !

2. 수행 과제 도출 및 우선순위 평가

(1) 일반적인 IT 프로젝트 우선순위 평가  

- 예시

전략적
중요도
전략적 필요성 - 전략적 목표 및 본원적 업무에 직접적인 연관관계 밀접한 정도
- 이슈 미해결 시 발생할 위험 및 손실에 대한 정도
시급성 - 사용자 요구사항, 업무능률 향상을 위해 시급히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도
- 향후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중요성 정도
실행
용이성
투자 용이성 - 기간 및 인력 투입 용이성 정도
- 비용 및 투자예산 확보 가능성 정도
기술 용이성 - 적용 기술의 안정성 검증 정도
- 응용시스템, H/W 유지보수 용이성 정도
- 개발 Skill 성숙도 및 신기술 적용성 정도

 

(2) 빅데이터의 특징을 고려한 분석 ROI 요소

- Return Of Investment

- 크게 투자 비용 요소와 비즈니스 효과 요소

- 투자 비용(Investment) 측면의 요소 : 크기(Volume), 다양성(Variety), 속도(Velocity)

- 비즈니스 '효과' 측면의 요소 : 가치(Value)

 

(3) ROI를 활용한 우선순위 평가 기준

시급성 - 전략적 중요도(현재 or 미래)
- 목표가치(KPI)
Value 비즈니스 효과
(Return)
난이도 - 데이터 획득/저장/가공 비용
- 분석 적용 비용
- 분석 수준
Volume
Variety
Velocity
투자 비용 요소
(Investment)

 

(4) 포트폴리오 사분면(Quadrant) 분석을 활용한 우선순위 평가 기준

- 난이도와 시급성을 동시에 고려해 판단

- ex) 우선순위를 '시급성'에 둔다면 3-1-4-2 (출제기관에서는 1생략 3-4-2),

'난이도'에 둔다면 3-4-1-2 (출제기관에서는 4생략 3-1-2) 

 

+ IT 용어 설명

- ISP(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) : 정보기술 및 정보시스템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먼저 조직의 내외부 환경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며,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시스템 구축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등의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절차

- SI(System Intefration) : 시스템 구축의 약자로, 전산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부터 하청을 받아 시스템의 기획, 개발, 유지보수, 운영 등을 대신해주는 업종

- SM(System Management) : 시스템 운영. 또는 유지보수의 약자

 

- 마스터플랜 << ISP(좀 더 큰 개념)

3. 이행 계획 수립

(1) 로드맵 수립

- 과정 :

1. 포트폴리오 사분면을 통한 우선순위 결정

2. 과제별 적용 범위 및 방식을 고려한 최종 우선순위 결정

3. 단계적 구현 로드맵 수립

4. 단계별 추진 목표 정의

5. 추진 과제별 선후행 관계를 고려하여 추진 내용 정렬

 

- 단계별 분석 로드맵 수립

추진
단계
[1단계]
분석 체계 도입
[2단계]
분석 유효성 검증
[3단계]
분석 확산 및 고도화
단계별 
추진 목표
- 분석 기회 발굴
- 분석 과제 정의
- 분석 로드맵 수립
- 분석 과제 수행
- 성과 검증
- 분석 아키텍처 설계
- 분석 과제를 업무 프로세스에
내재화
- 검증 결과 확산
- 활용 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
추진
과제
[추진과제 #0]
- 분석 기회 발굴 및 과제 정의
- 분석 로드맵 수립
[추진과제 #1]
- 알고리즘 및 아키텍처 설계
- 분석 과제 Plot 수행
[추진과제 #2]
- 업무 프로세스에 내재화를 위한
PI 관리
[추진과제 #3]
- 빅데이터 분석 활용 시스템 구축
- 유관 시스템 고도화

 

(2) 세부 이행계획 수립

- 폭포수 방식도 있으나 반복적인 모델링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방식 주로 사용

- 모델링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혼합형 주로 사용

 

- 반복적 정련 특성을 고려한 일정계획 수립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