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ADsP 37회 기출 변형 [2과목] 문제 풀이
    CERTIFICATION/ADsP 2024. 5. 8. 22:00
    728x90
    반응형

    [2과목]

    ** 정답과 해설은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**

     

    11. 다음 중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분석 기획 단계에서 수행하는 주요 태스크로 잘못된 것은?

    ① 비즈니스 이해 및 범위 설정

    ② 프로젝트 정의 및 계획 수립

    ③ 필요 데이터 정의

    ④ 프로젝트 위험 계획 수립

    더보기

    정답 : ③

    - 필요 데이터 정의는 데이터 준비 단계에서 수행

     

    12. 다음 중 분석 과제 발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?

    ① 분석의 대상을 알지만 분석 방법을 모를 경우 Solution 탐색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.

    ②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을 때 상향식 접근법을 활용해야 한다.

    ③ 디자인 씽킹이란 하향식 접근법과 상향식 접근법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고의 의사결정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

    ④ 상향식 접근법이란 다양한 데이터의 조합에서 인사이트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을 의미한다.

    더보기

    정답 : ②

    -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을 때는 하향식 접근법을 활용한다.

     

    13. 다음 중 낮은 정확도(Accuracy)와 높은 정밀도(Precision)를 갖는 예시로 올바른 것은?

    더보기

    정답 : 

    - 낮은 정확도는 예측값으로부터 멀리 벗어난 것을 의미

    - 높은 정밀도는 모델을 반복적으로 수행했을 때 편차가 크지 않은 것을 의미

     

    14. 다음 중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의 데이터 표준화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업무가 아닌 것은?

    ① 명명 규칙 수립

    ② 메타데이터 구축

    ③ 데이터사전 구축

    ④ 데이터 생명주기 관리 방안 수립

    더보기

    정답 : ④

    - 데이터 생명주기 관리 방안 수립은 데이터 관리 체계 단계에서 수행

     

    15. 다음 중 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?

    ① 전략적 중요도

    ② 비즈니스 성과 및 ROI

    ③ 기술 적용 수준

    ④ 분석 과제의 실행 용이성

    더보기

    정답 : 

    - 기술 적용 수준은 적용 범위/방식 고려 요소

     

    16. 다음 중 기업의 분석 성숙도 진단 대상이 아닌 것은?

    ① 비즈니스 부문

    ② 조직 및 역량 부문

    ③ IT 부문

    ④ 서비스 부문

    더보기

    정답 : 

    - 기업의 분석 성숙도 진단 대상은 비즈니스 부문, 조직 및 역량 부문, IT 부문 3가지

     

    17. 다음 중 프로토타입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? 

    ① 단계를 거쳐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모델로, 현재 단계가 끝나야 다음 단계로 진행 가능한 모델

    ② 개발 및 사용자 요구 분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점진적으로 개발해 나가는 방법으로, 고객의 요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을 때 용이한 모델

    ③ 개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해 나가면서 점증적으로 개발하는 모델

    ④ 단계, 태스크, 스텝으로 구성된 계층적 프로세스 모델

    더보기

    정답 : 

    ① - 폭포수 모델

    ③ - 나선형 모델

    ④ - 계층적 프로세스 모델

     

    18. 하향식 접근법의 해결 방안 탐색 단계는 기존 시스템 가용 여부 및 기업의 분석 역량에 따라 해결 방안이 달라진다. 다음 중 기존 시스템 활용이 가능하면서 기업의 분석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 해당하는 방안은 무엇인가?

    ① 기존 시스템과 인력을 활용 

    ② 교육 및 채용을 통한 인력 확보

    ③ 시스템 고도화

    ④ 전문업체 아웃소싱

    더보기

    정답 : 

    - 기존 시스템과 인력을 활용 (기존 시스템 활용 o, 분석 역량 o)

    - 교육 및 채용을 통한 인력 확보 (기존 시스템 활용 o, 분석 역량 x)

    - 시스템 고도화 (기존 시스템 활용 x, 분석 역량 o)

    - 전문업체 아웃소싱 (기존 시스템 활용 x, 분석 역량 x)

     

    19. 다음 중 분석 준비도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분석 기법을 진단하기 위한 항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?

    ① 분석 업무를 위한 데이터

    ② 분석 업무 도입 방법론

    ③ 분석 기법 라이브러리

    ④ 분석 기법 효과성 평가

    더보기

    정답 : ①

    - 분석 업무를 위한 데이터는 분석 데이터의 진단 항목

     

    20. 다음 중 능력 성숙도 통합 모델의 4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?

    ① 일정이나 비용과 같은 요소가 프로세스의 중심으로, 약간의 개발 프로세스 아래 통제되는 상태

    ② 위와 더불어 조직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상태

    ③ 위와 더불어 체계적인 관리하에 프로젝트 및 산출물 등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한 상태

    ④ 위와 더불어 조직적으로 최적화된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하는 상태

    더보기

    정답 : 

    - CMMI(능력 성숙도 통합 모델)

    1단계 : 개인의 역량이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나누는 주요 요인으로 프로젝트의 개발 프로세스가 거의 x

    2단계 : 일정이나 비용과 같은 요소가 프로세스의 중심으로, 약간의 개발 프로세스하에서 통제되는 상태

    3단계 : 2단계에서 존재하지 않는 조직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존재하는 상태

    4단계 : 체계적인 관리하에 프로젝트 및 산출물 등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한 상태

    5단계 : 조직적으로 최적화된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목표로 하는 상태

    728x90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